검색 결과

"ECMAScript"에 대한 검색 결과 (총 29개)

AggregateError

기술 > 프로그래밍 > JavaScript | 익명 | 2025-09-16 | 조회수 0

# AggregateError **Error**는 ECMAScript 201(ECMA-62 12 Edition)에서 도입된 JavaScript의 내장 오류 객체로, 여러 개의 오류를의 오류 객체 통합하여 표현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주로 비동기 작업에서 여러 개의 프로미스가 동시에 실패할 경우, 각각의 오류를 별도로 처리하지 않고 하나의 오류로 묶어...

프로퍼티 디스크립터

기술 > 프로그래밍 > JavaScript | 익명 | 2025-09-04 | 조회수 11

프로퍼티스크립터 바스크립트(JavaScript)는 동적 언어로서 객체의 프로퍼티를 유연하게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그 중에서도 **프로퍼티 디스크립터**(Property Descriptor)는 객체의 프로퍼티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정의하는 핵심 개념입니다. 이 문서에서는 프로퍼티 디스크립터의 정의, 종류, 속성, 사용법 및 실용적인 예시...

세터

기술 > 프로그래밍 > JavaScript | 익명 | 2025-09-04 | 조회수 9

# 세터 (Setter) ## 개요 자바스크립트(JavaScript에서 **세터(setter)** 는 객체의 특정 속성에 값을 할당할 때, 그 값을 직접 저장하는 대신 **사용자 정의 로직을 실행**하도록 해주는 특수한 메서드입니다. 세터는 주로 객체의 속성에 값을 설정할 때 유효성 검사, 데이터 변환, 내부 상태 갱신 등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됩...

코루틴

기술 > 프로그래밍 > 비동기프로그래밍 | 익명 | 2025-09-04 | 조회수 11

# 코루틴 루틴(Coroutine)은 프로그밍에서 **비기 처리**를 구현하는 핵심 기법 중로, 함수의 실행을 일시 중단했다가중에 재개 수 있는 특별한 형태의 서루틴(subroutine입니다. 일반적인 함수 호출되면 종료될 때까지 실행 흐름을 반환하지 않지만, 코루틴은 중간에 제어권을 양보하고, 나중에 지점에서 다시 실행을 이어갈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ES6 클래스 문법

기술 > 프로그래밍 > JavaScript | 익명 | 2025-09-04 | 조회수 12

# ES6 클래스 문법 ECMAScript 2015 (ES6)는 자바스크립트의 주요 개정판으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 스타일을 보다 직관적이고 명확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클래스(class)** 문법을 도입했습니다. 기존의 프로토타입 기반 상속 방식은 기능적으로 동일하지만,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ES6 클래스...

스코프 체인

기술 > 프로그래밍 > JavaScript | 익명 | 2025-09-02 | 조회수 7

# 스코프 체인 JavaScript에서 **스코프 체인**(Scope Chain)은 변수와 함수를 참조할 때, 해당 식별자가 어디에 정의되어 있는지를 찾기 위해 사용하는 내부 메커니즘입니다. 이는 실행 컨텍스트(Execution Context)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변수의 가시성과 접근 가능성을 결정하는 핵심 개념입니다. 스코프 체인은 코드의 실행...

# 프로토타입 체인 ## 개요 **프로토타입 체**(Prototype Chain)은 자바스크립트(JavaScript)에서 객체 간 상속을 구현하는 핵심 메커니즘입니다. 자바스크립트는 전통적인 클래스 기반 객체지향 언어(C++, Java 등)와 달리 **프로토타입 기반**(prototype-based) 언어로, 객체가 직접 다른 객체를 자신의 원형(pro...

스코프

기술 > 프로그래밍 > JavaScript | 익명 | 2025-09-02 | 조회수 6

# 스코프 스코프(Scope)는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변수나 함수와 같은 식별자(Identifier)가 어디서 사용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규칙을 의미합니다. JavaScript에서는 스코프가 코드의 실행 흐름과 변수 접근 가능성을 크게 좌우하며, 잘못 이해하면 예기치 않은 동작이나 버그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 문서에서는 JavaScript에서의 스코프...

템플릿 리터럴

기술 > 프로그래밍 > JavaScript | 익명 | 2025-09-02 | 조회수 4

# 템플릿 리터럴템플릿 리터럴(Template Literal)은 **JavaScript**에서 문자열을 보다 유연하고 직관적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문법 기능입니다. ECMAScript 205(ES6)에서 도입된 이 기능은 기존의 문자열 연결 방식(예: `+` 연산자)을 대체하거나 보완하여,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특히 멀티라인 문...

# 프로토타입 상속 **프로토타입 상속**(Prototype Inheritance)은 자바스크립트(JavaScript)에서 객체 간에 속성과 메서드를 상속받는 핵심 메커니즘입니다. 전통적인 클래스 기반 객체지향 언어(예: Java, C++)와 달리, 자바스크립트는 **프로토타입 기반 객체지향 프로그래밍**(Prototype-based OOP)을 채택하고 ...

TDZ

기술 > 프로그래밍 > JavaScript | 익명 | 2025-09-01 | 조회수 20

# TDZ (Temporal Dead Zone) ## 개요 **TDZ**(Temporal Dead Zone, 시간적 사각지대)는 JavaScript에서 `let`과 `const`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가 **선언되기 전에 접근할 수 없는 구간**을 의미하는 개념입니다. 이는 기존의 `var` 키워드와는 다른 동작 방식으로, 변수의 **호이스팅**(hois...

es6.md

기술 > 프로그래밍 > JavaScript | 익명 | 2025-09-01 | 조회수 13

# ES6: 자바스크립트의 혁신적인 진화 ECMAScript 6(ES6), 공식 명칭은 ECMAScript 015는 자바스크RIPT의 중대한 업데이트 버전으로, 2015년 6월에 공식 발표되었습니다. 이 버전은 그 이전의 ES5(2009년) 이후 가장 큰 변화를 가져왔으며, 자바스크립트의 문법과 기능을 대폭 개선하여 더 직관적이고 효율적인 코드 작성을 가...

정적 메서드

기술 > 프로그래밍 > JavaScript | 익명 | 2025-09-01 | 조회수 10

# 정적 메서드 JavaScript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의 여러 기능을 지원하며, 중 하나로 **정적 메서드Static Methods)를 제공합니다. 정적서드는 클래스 자체에 속하며,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생성하지 않고도 호출할 수 있는 메서드입니다. 이 문서에서는 JavaScript에서 정적 메서드의 개념, 사용 방법, 주요 특징 및 실제 활용...

ES2022

기술 > 프로그래밍 > JavaScript | 익명 | 2025-09-01 | 조회수 15

# ES2022 **ES2022ECMAScript 222)는2022년6월에 공 발표된 ECMAScript 최신 표준 버전으로, 자바스크립트 언어의 발전을 반영하는 중요한 업데이트입니다. 이 표준은 TC39 위원회에 의해 제정되며, 매년 새로운 기능과 개선 사항을 포함하여 자바스크립트의 표현력과 개발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ES2022는 기존의...

class

기술 > 프로그래밍 > JavaScript | 익명 | 2025-09-01 | 조회수 9

# class JavaScript에서 `class`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 Object-Orient Programming)을 보 직관적이고 구조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문법적 구조입니다. ECMAScript 205(ES6) 도입된 `class` 키워드는 기존의 프로토타입 기반 상속을 더 명확하고 익숙한 형태로 표현할 수 있게 해줍니다. ...

호이스팅

기술 > 프로그래밍 > JavaScript | 익명 | 2025-09-01 | 조회수 11

# 호이스팅 ## 개요 **호이스팅**(Hoisting)은 JavaScript의 컨텍스트 생성 단계에서 변수와 함수의언을 해당 스코프의 최상단으로 "끌어올리는" 것처럼 동작하는 특수한 메커니즘을 의미합니다. 이 개념은 JavaScript의 동작 방식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며, 특히 변수 선언과 초기화의 시점이 다를 경우 예기치 않은 동작을 유발할 수...

변수 가시성

기술 > 프로그래밍 > JavaScript | 익명 | 2025-09-01 | 조회수 12

# 변수 가시성 JavaScript에서 **변수 가시성**(Variable Visibility은 특정 변수가의 어느 부분에서 접근 가능하고 사용될 수 있는 결정하는 중요한 개념이다 변수의 가시성은가 어디서 선되었는지, 그리고 어떤 스코프(scope)에 속해 있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이 문서에서는의 변수 가시에 대해 깊이 있게 다루, `var`, `let`...

함수 스코프

기술 > 프로그래밍 > JavaScript | 익명 | 2025-09-01 | 조회수 10

# 함수 스코프 ## 개요 JavaScript에서 **스코프**(Scope) 변수와 함수가에서 접근 가능하고,에서 정의되는 결정하는 규칙을 의미합니다. 특히 **수 스코프Function Scope)는 JavaScript의 핵심적인 개념 중 하나로, 변수가 **함수 내부 선언될 때 그 함수 내 전체에서만 접근**하도록 제한하는 스코프의 한입니다. 이는 블...

class.md

기술 > 프로그래밍 > JavaScript | 익명 | 2025-09-01 | 조회수 15

# JavaScript 클래스 ## 개요 JavaScript는 원래 프로토타입 기반의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어로, 클래스라는 개념이 명시적으로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ECMAScript 2015 (ES6)에서부터 **`class`** 키워드가 도입되면서, 개발자들은 보다 직관적이고 익숙한 문법으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구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

scope-chain.md

기술 > 프로그래밍 > JavaScript | 익명 | 2025-09-01 | 조회수 15

# 스코프 체인 (Scope Chain) JavaScript는 변수와 함수의 접근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 **스코프(Scope)**라는 개념을 사용하며, 이 스코프를 따라 변수를 찾는 과정을 **스코프 체인(Scope Chain)**이라고 합니다. 스코프 체인은 JavaScript의 실행 컨텍스트(Execution Context)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